만나이 계산기 및 만나이 계산방법 안내드리겠습니다. 국민들의 혼선과 갈등을 방지하고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기준과 부합하기 위해서 지난 6월 28일부터 만나이 사용을 시행합니다. 만나이 시행으로 인해 달라지는 사항들을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그 동안 일상생활에서는 한국식 세는 나이를 사용하고, 법적으로는 일부 법률에서 연 나이를 적용하기로 명시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만나이를 사용하여 혼선을 야기하였는데요. 만나이 시행 후 행정, 사법의 기준이 되는 나이는 출생일을 산입하여 만나이로 계산하고 연수로 표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앞으로 별도의 특별한 규정이 없다면 법령, 계약, 공문 등에 표시된 나이는 만나이로 보시면 됩니다.
만나이 계산기
만나이는 생일이 지난 사람은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뺀 나이로 계산을 하고, 생일이 지나지 않은 사람은 현재 연도에서 태어난 연도를 뺀 나이에서 추가로 한 살을 빼서 계산을하게 됩니다.
1. 올해 생일이 지나지 않았다면
현재 연도 - 출생연도 - 1살 = 현재나이
ex) 2023 - 1992 - 1살 = 30살
2. 생일이 지났다면
현재 연도 - 출생연도 = 현재나이
ex) 2023 - 1992 = 31살
만나이에 대해 쉽게 이야기하자면, 기존에는 태어나자마자 1살이되었는데 만나이 시행부터는 태어나면 0살로 시작하여 생일이 지날 때마다 1살씩 더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만나이 시행으로 인해 초등학교 취학 의무 연령에 변화가 있나요?
> 초등학교 입학 나이는 동일합니다. 초중등교육법에 따라 종전과 동일하게 만 6세가 된 날이 속하는 해의 다음 해 3월 1일에 입학하게 됩니다.
연금 수급 시기, 정년 등이 달라지는 건가요?
> 달라지지 않습니다. 만나이 통일법 시행 전에도 법령상 나이는 특별한 규정이 없으면 만나이로 계산하였습니다. 만나이 통일법 시행으로 연금 수급시기. 정년 등이 변경되는 것은 아닙니다.
친구끼리도 생일에 따라 나이가 달라질 수 있는데 호칭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 처음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친구끼리 호칭을 다르게 쓸 필요는 없습니다. 만나이 사용이 익숙해지면 한두 살 차이를 엄격하게 따지는 한국의 서열문화도 점점 사라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만나이 시행 후 병원에 가서 진료를 받거나 약 복용법을 살필 때, 각종 복지 및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이제 헷갈리지 말고 만나이를 적용하면 되겠습니다.
일상생활에서도 생일케이크에 초를 꽂을 때나 내 나이를 이야기할 때 만나이를 사용하시면 됩니다.
처음엔 어색하게 느껴질 수 있겠지만 일상생활에서도 만나이가 자연스러워질 수 있도록 만나이를 꾸준히 사용하시면 되겠습니다.
만나이 정책
만나이 정책은 지난 6월 28일부터 시작되었는데요, 만나이 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바뀌는 정책과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나이 시행으로 법정 연령 계산 방식이 통일되는데요, 기존의 연 나이(태어난 해를 기준으로 계산)와 달리 만나이(국제 표준 방식으로 생일을 기준으로 계산)를 법적 나이로 통일합니다. 이를 통해 나이 계산 방식의 혼란을 줄이고 국제적인 기준에 맞춥니다.
모든 법령, 계약, 행정업무 등에서 나이를 계산할 때 만나이를 사용합니다. 민법, 행정법, 청소년보호법 등 다양한 법률에서 만나이를 기준으로 연령을 계산합니다. 또한 국민들이 기존의 나이 계산 방식(연 나이) 대신 만나이를 사용하게 되어 실질적인 나이가 줄어들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연 나이로 30세인 사람이 만나이로는 28세가 될 수 있습니다.
만나이가 시행됨에 따라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만나이를 사용함으로써 외국과의 소통이 원활해지며 법령과 행정업무에서 나이 계산의 혼란이 줄어듭니다. 또한 다양한 법률과 제도에서 적용되는 연령 기준이 명확해집니다.
이상으로 만나이 계산기 및 계산 방법 안내드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