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총정리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안내드리겠습니다. 작년에 출시되어 현재까지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는 5년 동안 매월 70만원 한도로 내에 자유롭게 납입하면 최대 6%의 정부 기여금을 지급하고 이자에 대해 비과세 혜택을 적용하여 청년들이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자산마련사업입니다. 청년도약계좌의 경우 다른 청년 저축과 비교하여 가입조건이 까다롭지 않으니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확인하시어 현재 적금을 들 계획이라면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및 지원내용

 

 

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중장기적 자산형성을 지원하기 위해 추진된 정책형 금융상품입니다. 매달 70만원 한도 내에서 자유롭게 5년간 납입하면 정부기여금, 은행 경과이자를 더한 금액을 만기 수령할 수 있습니다.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기에 일반 금융기관 적금에 비해 높은 이자를 기대해 볼수 있습니다.

 

가입조건의 경우 개인소득 수준, 본인이 납입한 금액에 따라 정부 기여금을 지원받게 되는데요, 매칭비율은 개인소득이 낮을수록 많은 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소득구간별로 차등을 두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자격 확인하기

 

 

또한 개인소득이 4,800만원 이하인 경우 납입한도에 미치지 못하는 금액을 납입하더라도, 정부기여금을 모두 수령할 수 있도록 기여금 지급한도를 별도로 설정하였습니다.

 

이 밖에도 청년도약계좌는 다른 청년적금 상품들에 비해 가입조건이 많이 완화되어 대부분의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아래의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나이를 모두 충족하면 됩니다.

1.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2. 가구소득 중위 소득 250% 이하

3. 만 19 ~ 34세 청년 (병역이행기간 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2024년 가구 중위소득 250% 이하▼

가구원 수 중위소득 250% 이하
1인 가구 58,344,360
2인 가구 97,802,550
3인 가구 125,841,030
4인 가구 153,632,400
5인 가구 180,735,450
6인 가구 207,210,120
7인 가구 233,417,760

 

 

개인소득이 6,000 ~ 75,00만원이며, 기준 중위소득이 180% 이하 청년도 신청은 가능하지만 정부 기여금 지급없이 이자소득 비과세 혜택만 받을 수 있습니다.

 

군대를 2년간 다녀왔다면 만 36세까지 신청을 할 수 있으며, 병역이행기간은 최대 6년입니다.

 

제일 중요한 정부기여금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정부기여금은 아래의 표와 같으며 금리의 경우 3년 고정금리 / 2년 변동금리로 기본 금리가 4.5% / 우대금리가 1.5%입니다. 

 

정부기여금▼

개인소득 (총급여 기준) 기여금 지급한도(월) 기여금 매칭비율 기여금 한도(월)
2,400만원 이하
(종합소득 1,600만원 이하)
~ 40만원 6.0% 24,000원
3,600만원 이하
(종합소득 2,600만원 이하)
~ 50만원 4.6% 23,000원
4,800만원 이하
(종합소득 3,600만원 이하)
~ 60만원 3.7% 22,000원
6,000만원 이하
(종합소득 4,800만원 이하)
~ 70만원 3.0% 21,000원
7,500만원 이하
(종합소득 6,300만원 이하)
- - -

 

 

정부기여금을 예로 들어보겠습니다. 연 소득 3,000만원 청년의 경우 청년도약계좌 월 최대 납입금액인 70만원을 저축한다해도 정부기여금은 23,000원만 지급됩니다. 기여금 지급한도가 50만원이기에 50만원을 저축할 경우 23,000원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것이죠. 만약 30만원을 저축한다면 13,800원의 정부기여금을 받을 수 있는 겁니다. 

 

금리의 경우 기본금리는 4.5%이며 우대 금리가 1.5%인데요, 우대금리의 경우 월급통장 또는 마케팅 동의 등 은행마다 차이가 있으니 아래의 은행별 청년 도약계좌 금리 비교 사이트를 통해 확인해보시고 가입하시길 바랍니다.

 

 

청년도약계좌 은행별 금리 확인하기

 

 

보기 쉽게 청년도약계좌 총정리를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은행 금리의 경우 은행사 마다 다르니 본인이 확인해보시길 바라며, 정부기여금과 매칭비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입대상 개인소득과 가구소득 기준을 충족한 만 19 ~ 34세 청년

개인소득 7,500만원 이하, 가구소득 중위 250% 이하

병역이행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미산입
가입방법 매월 초 은행 어플을 통해 신청 가능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남, 대구, 경남은행)

가입신청 > 소득심사 > 유지심사
금리 가입 후 3년은 고정금리 (이자소득에는 비과세 혜택 적용)
연계지원 저소득층 청년 지원을 위한 복지상품과 중소기업 재직 청년 등을 위한 고용지원 상품 동시가입 허용
> 청년내일저축계좌, 청년내일채움공제, 지자체 상품 등

청년희망적금은 만기 또는 중도해지 후 청년도약계좌 순차 가입 허용

상품 만기 이후에도 자산형성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
> 정책상품 이용 시 우대금리 제공, 납입내역 개인신용평가 가점 반영, 금융교육 및 컨설팅 서비스 제공

 

 

청년도약계좌 신청방법

 

 

청년도약계좌 신청의 경우 매월 초 가입신청을 받고있는데요, 5월의 경우 5월 2일 ~ 5월 10일까지로 가입신청이 끝났으며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희망하시는 분들은 6월 초에 가입하시면 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은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남, 대구, 경남은행 어플에서 가능하며 별도의 서류 필요없이 은행 어플의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을 누르면 은행자체에서 소득 및 조건 등을 심사하여 2 ~ 3주 후 결과를 통보합니다. 

 

 

본인이 우대금리를 받을 수 있는 곳의 은행에서 신청하는 것이 좋으니 각 은행별 우대금리를 확인하고 6월 초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만약 해지를 한다면 어떻게 될지 궁금해하실텐데요, 청년도약계좌 중도 해지 시 3년 이상 유지를 하였다면 기여금 약 60%와 비과세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생애최초 주택구입이나 결혼, 출산, 해외이주, 퇴직 등 특별중도해지 사항에 충족한다면 비과세 혜택과 정부기여금 혜택을 가입기간에 상관 없이 모두 받아 볼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Q&A

 

 

1. 청년도약계좌와 유사상품과의 중복가입은?

> 기존 지원 상품에 가입한 청년이더라도 최대한 자산형성을 지원 받을 수 있또록 유사상품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이 낮고 자산이 부족한 청년들을 조금 더 두텁게 지원할 수 있도록 청년내일저축계좌, 복지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 동시가입을 허용합니다.

 

고용지원 상품인 청년내일채움공제, 고용지원 목적의 지자체 지원상품이 동시가입 가능합니다.

 

청년희망적금의 경우 만기 후 가입을 하거나 해지후 가입이 가능합니다.

 

 

2. 모든 금융회사에서 가입할 수 있나요?

농협, 신한, 우리, 국민, 하나, 광주, 부산, IBK기업, 전남, 경남, 대구은행 총 12곳에서 가입가능합니다.

 

3. 가입 후 금리가 변동되나요? 5년 동안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건가요?

> 상품금리는 가입 후 최소 3년간 고정금리가 제공되며, 이후 2년간은 변동금리가 적용됩니다. 3년을 초과하여 고정금리가 적용되는 상품도 출시할 수 있도록 취급기관과 협의할 예정입니다.

 

변동금리는 해당시점 기준금리에 고정금리 기간중 적용되었던 가신금리를 더해 산출 되게 됩니다.

 

4. 연중 계속 가입신청을 받는 건가요?

> 네. 매월 초 가입신청을 받아 가입신청 후 2 ~ 3주내에 심사를 완료하여 결과를 통보합니다.